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7-27 00:00 조회6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12년 헌법재판소의 2개의 헌법불합치 결정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있던
문제를 일순간에 표면화하였으며, 2014. 3. 24. 법 개정의 기폭제가 되었다.
개정 법은 정화책임의 주체로 ‘정화책임자’라는 용어를 새로이 도입하고
정화책임자의 범위를 재설정하면서 면책의 확대, 정화책임자간 우선순위
설정, 구상권, 국가지원 등 규정을 새로이 두면서 나름대로 대폭적인 손질을
하였다. 그렇다면 위헌성은 완전히 제거되었는가?
정화책임자 조항은 과거 오염원인자의 범위 및 적용에 관한 위헌성 논란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구체적인 경우 그 해석을 둘러싼
치열한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가뜩이나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떠밀리듯이 이루어진 소폭적이고 임기응변적인 개정은 위헌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미흡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시행에 따라 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개정 법은 소급효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동법에서 정화책임자
조항 전반에 걸쳐 소급책임 여하만 분명히 하였어도 위헌성 문제는 크게 제기되지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토양오염을 발생시킨 자와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
자 등을 빠트리고 토지의 소유자 등에 대해서만 소급효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은
입법의 부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개정 법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추후 개정 시에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
등에 대한 소급효 여하(특히 소급 적용의 시적 범위)를 분명히 하고, 기금의 설치,
국가의 비용지원 등을 포함하여 소급효 제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이고 면밀히 검토하고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면책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차원에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선의의 소유자 항변, 선의의
토지구입예정자에 대한 면책, 소량의 오염물질과 비유해물질을 배출자에 대한 면제
등 입법적 배려가 요구된다.
문제를 일순간에 표면화하였으며, 2014. 3. 24. 법 개정의 기폭제가 되었다.
개정 법은 정화책임의 주체로 ‘정화책임자’라는 용어를 새로이 도입하고
정화책임자의 범위를 재설정하면서 면책의 확대, 정화책임자간 우선순위
설정, 구상권, 국가지원 등 규정을 새로이 두면서 나름대로 대폭적인 손질을
하였다. 그렇다면 위헌성은 완전히 제거되었는가?
정화책임자 조항은 과거 오염원인자의 범위 및 적용에 관한 위헌성 논란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구체적인 경우 그 해석을 둘러싼
치열한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가뜩이나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떠밀리듯이 이루어진 소폭적이고 임기응변적인 개정은 위헌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미흡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시행에 따라 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개정 법은 소급효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동법에서 정화책임자
조항 전반에 걸쳐 소급책임 여하만 분명히 하였어도 위헌성 문제는 크게 제기되지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토양오염을 발생시킨 자와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
자 등을 빠트리고 토지의 소유자 등에 대해서만 소급효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은
입법의 부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개정 법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추후 개정 시에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
등에 대한 소급효 여하(특히 소급 적용의 시적 범위)를 분명히 하고, 기금의 설치,
국가의 비용지원 등을 포함하여 소급효 제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이고 면밀히 검토하고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면책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차원에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선의의 소유자 항변, 선의의
토지구입예정자에 대한 면책, 소량의 오염물질과 비유해물질을 배출자에 대한 면제
등 입법적 배려가 요구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